
[Cosmology] 3. 현대우주론의 시작의 발판, 대논쟁(The Great Debate)
2022. 9. 12. 23:37
Astronomy/Cosmology
현대천문학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은하라는 개념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후 캅테인과 섀플리의 우리 은하(Milky Way)의 모형제시를 통해 우주론의 탄생의 신호탄을 발사하였다. 우주론의 시작의 정점은 섀플리와 커티스의 대논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둘은 "우주의 크기(Scale of the Universe)"란 주제하에 논쟁을 펼쳤다. 섀플리는 그 때 당시 우리 은하의 모형을 구상성단을 이용하여 캅테인의 모형을 수정시켜 유명해졌다. 섀플리는 그래서 이 논쟁에서 나선성운에 관한 이야기는 가급적 하지 않고 은하의 크기와 모형에 대해서만 주장을 하였다. 그래도 섀플리는 반마넨이라는 관측천문학자의 관측결과를 믿고 섬우주론을 반대하는 쪽이였다. 반마넨은 섀플리의 지도교수였던 러셀과 친분이 있던 사람이고 그로 ..

AI, 그게 뭔데?
2022. 9. 12. 22:07
Data Science/Machin Learning
(이번 글은 수포자들도 읽을 수 있게끔 아주 기초적인 내용만을 다룹니다.) AI, AI, AI! 소프트뱅크 창립자 손정의 아저씨가 문재인 전 대통령을 만나서 한 말이다. 2000년 초에 김대중 전 대통령을 만났을 때는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초고속인터넷(브로드밴드)다!' 라고 했던 캐치프라이즈를 키워드만 AI로 바꿔서 얘기하신듯하다. 하긴, 소프트뱅크 후임자도 내쫓으면서 컴백한 이유가 AI때문인 분이니 놀랍지도 않다. 손정의 센세의 안목은 그동안 정말 놀라웠다. 소프트뱅크의 자금규모만 봐도 말을 더 할 필요가 굳이 있을까. 그렇다면, 이 할아버지는 대체 왜! AI가 앞으로의 미래 핵심 키워드라고 생각하는 것이고, 대체 AI가 뭔데 저렇게 난리인지 궁금해서 뒷조사(?)를 좀 하기로 했다. AI가 대체 뭐야..

Macbook M1 Tensorflow 설치하기(for jupyter notebook)
2022. 9. 12. 22:02
Data Science/Machin Learning
정든 내 창업기업을 떠나보내면서 새로운 도전에 나선 첫걸음은 바로 ML 시작하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새로운 시작을 하기 위해 예전에 배웠던 텐서플로우를 설치하는 것부터 시작하였다. 새 시작을 위해 구매한 M1 Macbook Air는 아직 낯설기만 하다. Window에 길들여진지 너무 오래되어서 그런가.. 옛날에 분명 Ubuntu로 개발을 배우긴 했지만 그건 벌써 6~7년전 이야기라서 가물가물하다ㅎㅎ 컴공수업 듣던 시절에 개발환경 세팅했던 기억을 더듬어 각종 모듈과 프로그램을 pip install 로 다운로드하였다. 마지막으로 야심차게 pip install tensorflow 을 했는데 이게 웬걸 jupyter notebook에서 import가 되지 않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루종일 뻘짓을 ..

[Python] OOP(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Class(클래스)
2022. 9. 9. 20:12
Skill Set/Python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 Object-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 객체(Object)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론. Source : https://velog.io/@gil0127/Object-Oriented-Programming-in-Javascript OOP는 실제 세상을 표현하고 있는, 여러가지 개념들을 프로그램으로 옮겨서 구현할 수 있기 위한 컨셉의 프로그래밍 패러다임(paradigm) → 개념의 추상화(abstraction) 객체(object)라는 개념은 실제 사물 하나하나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사물들이 공유하는 속성을 정의한 것을 클래스(Class)이다. 기존 방식은 데이터(변수, variable)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함수, ..

[Python] 입출력(I/O)
2022. 9. 9. 19:14
Skill Set/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배울 때, 제일 많이 하는 것은 단연 'Hello, World!' 출력하기 일 것이다. print('Hello, World!') 이 문장의 어원은 C언어를 처음 만든 개발자인 브라이언 커니핸과 데니스 리치가 쓴 책인 'The C Programming Language' 에서 처음 소개한 코드다. (티스토리에서 C언어 코드블럭를 지원해주지 않는다니..ㅠㅠ) main( ) { printf("Hello, world!"); } 개발을 처음 배울 때 누구나 한 번쯤은 써봤던 저 문장이 바로 출력(Output)이다. 이미 우리는 무의식 중에 입출력 중 출력기능을 밥먹듯이 활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정도로 입출력은 프로그래밍에서 기초 중의 기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입력은 무엇..

[Python] 함수
2022. 9. 9. 18:50
Skill Set/Python
수학을 배울 때 사람들을 수포자로 만드는 첫번째 관문은 함수가 아닐까 싶다. 특히나 이차함수를 처음 마주치면 거기서부터 수학에 급격히 흥미를 잃고 문과를 가기로 다짐하게 되는 학생들이 꽤나 많을 것으로 추측한다. 수학에서 말하는 함수와 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는 동일하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라면 수학을 잘해야 한다는 말은 정말 맞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우리가 쓰는 대부분의 라이브러리가 사실 함수다. 클래스 메소드라고 말씀하시는 분이 있다면, 공부를 열심히 하신 분이다. 그렇지만, 클래스 메소드도 결국 함수라는 사실을 안다면, 훌륭하신 분이다! 함수는 코딩의 거의 모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많은 연습을 통해 기초를 탄탄히 다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함수 함수(Function) : 한 가지의 기능을 하..